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nformation325

경기도 - 경기지역경제 포털(지역경제 플랫폼) 경기지역경제 포털 소개동영상 2021. 9. 23.
redmine4 centos7 systemctl [Unit] Description=Redmine server After=syslog.target After=network.target [Service] Type=simple User=nginx Group=nginx ExecStart=/bin/bash -c 'source /usr/local/rvm/scripts/rvm && ruby /opt/redmine/bin/rails server unicorn -eproduction' # Give a reasonable amount of time for the server to start up/shut down TimeoutSec=300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2021. 9. 2.
[무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실습 교육(주관 : 경기도) 온라인 빅데이터 교육이 무료!! 빅데이터에 관심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신청GO!! ★교육일자: 09.17(금)~09.18(토)/2일간 - 신청기간: ~ 21.09.14(화) 까지 - 신청방법: 네이버폼 제출(naver.me/59jxOExg) 2021. 8. 31.
클라우드 기반으로 나만의 업무 환경 구성하기 (Dropbox Vs OneDrive VS Google Drive) 어떤사람들은 굳이 돈내고 쓰냐, 또는 그럴꺼면 NAS를 사지 부터 많은 이야기를 듣고 있습니다만, 사실 언제부터인가 구독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계속 쓰고 있습니다. 아마도 계속 쓰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사실, 이건 저만의 귀찮니즘과 관련이 큽니다. 생각해보니 클라우드 서비스만해도 3개를 유로로 쓰고 있습니다. 1. Dropbox : 제 컴퓨터의 자료백업의 원탑 (소스코드던, 사진이던, 그동안 만들었던 각종 자료들) , 지금 까지 여러변 경험했지만, 물론 외장하드나 NAS나 다른 선택지도 많지만 일단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가 자료가 날라가든 당장 핸드폰이나 다른 컴퓨터에서 자료를 봐야할때 매우 유용합니다. 사실 모든 클라우들이 백업을 잘합니다. 그 중에 드롭박스에서는 바탕화면,문서,다운로드 폴더를 백업해주는 .. 2021. 8. 2.
새로운 Dropbox 서비스 Dropbox Capture Dropbox에 새로운 서비스가 생겼습니다. Capture라고 말그대로 캡쳐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저같은경우는 여러대의 컴퓨터에 Dropbox, OneDriv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각 유료로 쓰고 있는데, 이거 비교는 다음에 하고 캡처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업무를 하다보면 캡처를 많이 쓰게 됩니다. 보고서든 설명이든, 저 같은경우 PickPick을 쓰고 있고, 드롭박스 폴더로 자동 백업되게 설정해 놓았습니다. 물론 그렇게 하다보면 무의미하게 쌓일수도 있고, 차곡차곡 드롭박스에 쌓이게 됩니다. 사실 당장 쓸일은 없어도 다른종류의 보고서나 그런걸 목적으로 할때 의외로 유용합니다. 만약 집에서 보고서같은걸 쓰다가 캡처했는데, 노트북으로 작업할때 자동적으로 백업되어 있다면 그대로 가져.. 2021. 7. 30.
[Spotifiy 스포티파이] 디바이스 연결하기로, 블루투스 스피커로 음악듣기 음악을 듣기위해, 벅스뮤직 하고 스포티파이를 동시에 쓰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생각에는 벅스는 중단하고 스포티파이로 옮겨갈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요즘 Olivia Rodrigo 음악을 듣는데, 완전 매력터지네요 갑자기 귀에 꽂혀서 함께 이야기되고 있는 Sabrina Carpenter 음악도 같이 듣고 있습니다. 음악을 듣을때 어떻게 들으시고 있나요? 물론 완전한 오디오에 돈을 투자하는 건 아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블루투스 이어폰, 헤드셋을 중심으로 음악을 듣는 것 같습니다. 블루투스 노이즈 캔슬링 헤드셋 Sony WH-1000XM2 : 아이유가 광고해서 산, 이제는 WH- 1000XM4 까지 나옴 블루투스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Sony WH-1000XM3 : 이것도 아이유가 광고.. 새로운 모델 100.. 2021. 6. 22.
반응형